티스토리 뷰
주택가격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으니 월금만 타서는 내집마련이 쉽지않죠. 그래서 내집마련시 주택담보대출을 활용하게 되는데 금리 인상시기에는 고민이 생기게 마련이죠.
그래서 금리 상승기엔 이왕이면 고정금리로 대출이 추천되며 정책성 모기지인 장기주택담보대출 신청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이 이를 대표하는데 금일은 이 두가지 상품 차례대로 살펴보고 차이점도 비교해볼께요.
◎ 디딤돌대출조건
먼저 디딤돌대출조건 간단히 풀어보면, 대출대상은 부부합산 연소득 6,000만원 이하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는 7,000만원) 무주택 세대주로 대출금리는 연 2.25%~연 3.15%, 대출한도는 최대 2억원, 대출기간 10년/15년/20년/30년, 거치기간 1년 가능한 매월 원(리)금 균등분할상환이 적용됩니다.
디딤돌대출 이용하기 위해선 소유권 이전 등기일로부터 3개월 이내 신청을 하셔야합니다. 대출금리는 대출만기별 소득수준별로 차등적용되는데 고정금리 혹은 5년 단위 변동금리 중 선택하실 수 있어요. 그리고 아래와 같이 우대금리도 가능합니다.
결국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신청자가 부부합산 소득이 2천만원 이하면서 대출기간 10년으로 설정 우대금리 최대한 받으신다면 최저 연 1.8%라는 초저금리로 내집마련을 위한 대출이 진행됩니다.
대출받고자 하는 주택도 기준이 있는데, 주택가격 5억원 이하, 주거 전용면적 85㎡(수도권 이외 지역 100㎡)이하여야 합니다. 주택담보가치의 최대 70%까지 금액상 최대 2억원까지 한도 주어지며 다음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대출신청 및 대출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우리은행,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BNK경남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DGB대구은행, 수협은행, 전북은행 그리고 미래에셋생명입니다.
◎ 보금자리론 대출자격
디딤돌대출과 비교할 보금자리론도 우선 주요 대출조건부터 리뷰해볼께요.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로 무주택자 혹은 1주택자에게 대출금리 연 2.90%~3.15%, 대출한도 최대 3억원, 대출기간 10년/15년/20년/30년, 거치기간 없이 매월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가능합니다.
디딤돌대출과 달리 보금자리론은 무주택자 뿐만 아니라 1주택자(일시적 2주택자도 허용된다. 즉, 기존 주택을 보금자리론 대출받고 3년 이내 처분조건)를 대상으로 연소득은 일괄적으로 7천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디딤돌대출이 고정금리와 5년 단위 변동금리가 있지만 보금자리론은 고정금리만 가능하며 추가로 우대금리 적용됩니다.
사실 보금자리론은 3가지로 나뉘는데 여기서 살펴보는 상품은 u-보금자리론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모기지론입니다. 아낌e보금자리론은 인터넷 신청으로 같은 조건에 0.1% 낮은 금리가 적용됩니다. 결국 주택가격 6억원 이하, 대출한도 3억원 이하, 연소득 7천만원 이하 신청자가 대출기간 10년 그리고 우대금리가 추가적으로 적용됩니다.
디딤돌대출이 주택가격 5억원 이하인 반면 보금자리론은 전용면적 관계없이 6억원 이하로 신청자격 부여됩니다. 대출한도는 주택담보가치 최대 70%로 금액상 3억원으로 디딤돌대출보다 1억원 높습니다. 마지막올 보금자리론 취급기관도 조금 다른데, 하나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수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경남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대구은행, 전북은행 이외 제주은행, 롯데손해보험, 삼성생명, 저축은행중앙회 및 다수의 저축은행에서도 신청 가능합니다.
'금융정보 시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신용대출 써니뱅크 시원 (0) | 2017.07.14 |
---|---|
우리은행 위비모바일대출 시원 (0) | 2017.07.14 |
국민연금대출 받는방법 실버론 시원 (0) | 2017.07.12 |
신한은행 직장인신용대출 한도 시원 (0) | 2017.07.12 |
농협 직장인신용대출 시원 (0) | 2017.07.12 |